반응형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 탐욕법 / Greedy 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은 최적해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으로, 여러 경우 중 하나를 결정해야할 때 마다 그 순간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 나가는 방식이다. 그 선택을 계속 수집하여 해답을 만들었다고 해서 최적이라는 보장은 없다.
대표적인 예시
1. 활동 선택 문제
2. 분할 가능 배낭 문제
💡 나의 풀이
def solution(n, lost, reserve):
reser_del = set(reserve)-set(lost)
lost_del = set(lost)-set(reserve)
for i in reser_del:
if i-1 in lost_del:
lost_del.remove(i-1)
elif i+1 in lost_del:
lost_del.remove(i+1)
return n-len(lost_del)
- 탐욕법 알고리즘을 찾아보며 해답을 얻었다
- 문제에서 lost와 reserve는 중복되지 않는다고 나와있으므로 set 연산을 해도 그대로이다
만약 중복될 경우를 대비해 중복을 제거해준다 - reserve의 i-1값과 i+1 값이 lost에 포함되어 있다면 제거해준다 (왼쪽부터 제거 시작)
- 총 학생 수에서 체육복을 잃어버린 학생 수를 빼준다면 체육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수가 도출된다
- 처음에는 Dictionary를 사용하여 풀어보다가, lost[i]-1과 lost[i]+1이 reserve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해서 count+=1
한 값을 n에서 빼주는 형식으로 풀었는데 TC 3개는 통과 했으나 실행에서 다 틀려서 위와 같이 해결했다..
반응형
'🐍PYTHON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프로그래머스 더 맵게 파이썬 코드(heapq 모듈 사용) (2) | 2020.09.02 |
---|---|
[Python] 프로그래머스 정수 내림차순 배치하기 파이썬 코드 (0) | 2020.08.25 |
[Python] 프로그래머스 핸드폰 번호 가리기 파이썬 코드 (0) | 2020.08.24 |
[Python] 프로그래머스 콜라츠 추측 파이썬 코드 (0) | 2020.08.24 |
[Python] 프로그래머스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파이썬 코드 (0) | 2020.08.19 |